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통화당국
- 모니모미니게임
- 분배금지급일
- 네이버현장결제
- 네삼페
- 외국납부세액공제개편
- 세뱃돈이벤트
- 카드결제혜택
- 배당락
- 직장인점심값
- 25년 정부예산
- kodex미국ai테크top
- 서울시 청년정책
- 지급기준일
- 분배락
- 시장주차
- 네이버포인트뽑기
- 2025 정부예산
- 파킹통장장단점
- 설명절주차
- 맞춤정책
- 분배략
- 명절주차장
- 데일리이콘라이프
- 모니모포인트
- 소득세법개편
- etf배당락
- 2025 청년정책
- etf분배략
- 전통시장주차
- Today
- Total
데일리 이콘 라이프 : 직장인 자매의 똑똑한 경제생활 가이드
Kodex 미국AI테크TOP10 투자기록 - 딥시크이슈, 관세폭탄 속에서. 본문
평범하고 전형적인 K-직장인 개미투자자로써, AI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보고 투자한 kodex 미국AI테크TOP10타겟커버드콜ETF의 투자경험을 남기고자 작성하는 포스팅입니다. 최근 예상치 못한 딥시크의 등장과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큰 변동성을 겪고 있습니다. (변동성이란? 떨어진다....ㅎㅎ)
Kodex 미국AI테크TOP10 타겟커버드콜 ETF
무지하게 이름이 긴 이 ETF는 미국의 AI테크 TOP 10개 기업을 주구성종목으로 하는 국내상장 해외 ETF로, 미국의 빅테크 AI 관련주만 선별해 집중 투자하고 있습니다. 종목코드는 483280이며, 작년 2024년 5월 28일 상장했습니다. 현재 순자산총액은 3700억 정도입니다.
삼성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ETF에 "KODEX(코덱스)"라는 이름이 붙어있다는 건 아실텐데요, 코덱스에는 미국AI테크TOP10 기업에 투자하는 2개의 ETF가 있습니다. 2개 ETF 모두 미증시 대표 기술주인 배트맨(B.A.T.M.M.A.A.N)에 투자한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타겟커버드콜'이 붙은 ETF는 AI테크 기업투자와 동시에 월배당까지 노려볼 수 있습니다.
배트맨(BATMMAAN)은 미국의 대형기술주들을 묶어 부르는 조합어로, 기존의 '매그니피센트7'(M7)에 + 반도체 설계기업인 "브로드컴"이 추가되면서 총 8개의 미국 증시를 이끄는 기술주를 일컫는 말이 되었습니다. 모두 시가총액 1조 달러가 넘는 기업들입니다.
- B 브로드컴(Broadcom)
- A 애플(Apple)
- T 테슬라(Tesla)
- M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 M 메타(Meta)
- A 아마존(Amazon)
- A 알파벳(Alphabet)
- N 엔비디아(Nvidia)
원래 이 ETF의 이름에는 <15% 프리미엄ETF>라는 이름이 붙어 있었지만, 목표 배당률(분배율)을 15%와 같은 숫자로 표기한 ETF명칭이 투자자들에게 혼동을 줄 수 있고, "프리미엄"이 고급이라는 뜻으로 오인될 수 있다는 금융감독원의 지적에 따라 지금은 명칭에서 '15%'와 '프리미엄'이 삭제되고 "KODEX 미국AI테크TOP10+15%프리미엄"이 "KODEX 미국AI테크TOP10타겟커버드콜"로 변경되었습니다. ( 2024년 9월 25일~ 적용)
타겟커버드콜(Target Coverd Call)이란?
타겟커버드콜이 뭔데 투자자들한테 안정적인 배당을 지급하는 걸까요? 원래 커버드콜은 주식 옵션시장에서 사용되는 전략인데요, 아래 2가지 방식을 동시에 구사해서 돈을 법니다.
[1] 특정 주식을 보유하는 📈롱 포지션을 취해 수익을 창출.
=> 롱 포지션(Long Position)이란? 쌀 때 사서 비싸게 팔아 돈버는 전략. 구매해서 소유했다가 가격이 오르면 돈버는 방식.
[2] 동시에 같은 주식에 대한 '콜옵션'을 📉매도(숏 포지션)해 추가수익인 프리미엄을 창출
=> 숏 포지션(Short Position)이란? 빌려서 먼저 비싸게 팔고, 가격이 하락하면 재매수해서 돌려줌으로써 돈버는 전략. "비싸게 팔고 싸게 사기"
[1] ETF가 가진 주식의 일부(약 25%)에 대해 '콜옵션'이라는 권리를 팔아 번 돈으로 매달 배당금을 지급
[2] 나머지 약 75%는 그대로 보유해서 주가가 오르면 이익을 얻음
주식에 투자하면서 동시에 '콜옵션'이란 권리를 팔아 추가수익을 벌기 때문에,일반 ETF에 비해 높은 배당을 지급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운용사가 제시했던 연15%의 '목표 분배율'은 어디까지나 운용사의 목표이기 때문에 확정지급이라고 보면 절대 안됩니다. 실제 배당금지급이 목표한 것만큼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ETF 자체의 가격하락으로 원금마저 손실을 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배당률만 보고 성급히 투자하는 것은 절대 금물입니다.
예적금같은 원금보장 상품이 아니니까요.
연15%의 수익이라 해도, 가격하락이 -15%라면 본전이니 ^_^
구성종목
KODEX 미국AI테크TOP10타겟커버드콜ETF는 미국의 주요 AI 기업 10개에 집중 투자합니다.
구성종목은 포스팅 앞단에 말씀드렸던것처럼, 8개의 대형기술주가 모두 들어있습니다. 매달 일정한 수입(배당금)을 원하면서도 AI 기술기업들의 성장 가능성에 투자하고 싶고, 주식시장의 큰 변동에 덜 민감해지고 싶은 투자자 즉 안정성과 성장성을 모두 가져가고 싶은 투자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눈여겨볼만 한 구성입니다. 개별종목을 모두 투자하는 것보다는 어느정도 리스크 분산이 가능할 수도 있구요.
아래 비중은 운용사에서 계속해서 조절하며, 주가자체의 변동성도 있기 때문에 계속해서 바뀝니다.
구성종목명 | 비중 |
마이크로소프트 | 16.51% |
엔비디아 | 16.04% |
알파벳(구글) A | 15.30% |
애플 | 13.67% |
아마존 | 11.62% |
브로드컴 | 7.34% |
메타 | 6.81% |
TSMC | 4.93% |
테슬라 | 4.79% |
AMD | 2.74% |
MICROSOFT (16.51%)
NVIDIA Corp (16.04%)
ALPHABET INC-CL A (15.3%)
APPLE Inc (13.67%)
Amazon.com Inc (11.62%)
BROADCOM LTD (7.34%)
Meta Platforms Inc-CL A (6.81%)
TAIWAN SEMICONDUCTOR-SP ADR (4.93%)
TESLA MOTORS (4.79%)
ADVANCED MICRO DEVICES (2.74%)
NQ Emini US 02/07/25 C21700 index (0.0%)
NDXP US 02/07/25 C21510 Index (0.24%)
ETF 배당금(분배금) 지급내역, 확인방법
배당락일 | 배당 지급일 | 주당배당금 | 연간 배당수익률 |
2025-01-24 | 2025-02-04 | 146원 | 10.09 % |
2024-12-27 | 2025-01-03 | 145원 | 8.86% |
2024-11-28 | 2024-12-03 | 134원 | 7.69 % |
2024-10-30 | 2024-11-04 | 133원 | 6.45 % |
2024-09-27 | 2024-10-04 | 125원 | 5.21 % |
2024-08-29 | 2024-09-03 | 124원 | 3.98 % |
2024-07-30 | 2024-08-02 | 135원 | 2.74 % |
2024-06-27 | 2024-07-02 | 156원 | 1.43 % |
위 표는 KODEX 미국AI테크TOP10 타겟커버드콜 ETF의 상장 이후 분배금 지급이력입니다. ETF의 분배금 = 배당금으로 보시면 되는데요, 주당 지급하는 배당금이 상장일 이후 꾸준히 상승해온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배당지급일 기준의 수익률을 나타낸 것이기에 실제 투자자들이 느끼는 투자금 대비 수익률은 개인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ETF 1주를 1만원이라고 가정하고 1,000주인 1천만원 어치를 매수했다면, 매달 받는 분배금은 12~15만원 선(세전), 1만주인 1억원 어치를 매수했다면 매달 120~150만원(세전) 분배금을 지급받을 수 있었을 겁니다.
딥시크 충격과 관세 정책
2025년 1월 말, 갑자기 중국의 딥시크(DeepSeek)가 등장하면서 시장은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저비용으로 고성능 AI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고성능 GPU 중심의 AI 생태계를 완전히 흔들어 놓았고 저와 같이 AI빅테크에 투자한 투자자들은 며칠간 가슴을 몇 번이나 쓸어내렸을 겁니다.
여기에 더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발표되면서 시장 변동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이 흔들리고 환율 변동성도 커졌습니다. 특히 관세 정책이 AI 데이터 센터와 같은 전력 인프라 투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며 관련 ETF들이 약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이유로 이 상황을 단순히 부정적으로만 볼 순 없을 것 같습니다.
1. AI 산업의 장기적 성장성 : 딥시크의 등장이 단기적으로는 충격을 줬지만, 장기적으로는 AI 생태계를 더 혁신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기술 발전 속도도 빨라질 것입니다.
2. 미국 중심의 AI 패권 강화 : 트럼프의 보호무역 정책은 단기적으로 시장에 혼란을 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미국 기업들의 경쟁력을 강화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KODEX 미국 AI 테크 ETF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계획
이번에 시장 변동성에 대한 대비 부족으로 사실 아주 초보적인 실수들을 많이 겪었는데요, 일단 크게는 아래와 같은 전략으로 대응하려 합니다.
1. 장기적 관점 유지
단기적인 하락에 흔들리지 않고, AI 산업의 장기적 성장 가능성을 믿고 기다릴 예정입니다.
2. 추가 매수 시점 신중히 선택
시장 상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과도한 낙폭 후 반등 가능성이 높은 시점에서 추가매수를 고려할 예정입니다.
3. 분산 투자 강화
해당 ETF 외에도 다른 업종이나 지역에 분산 투자하여 리스크를 줄일 계획입니다.
4. 지속적인 학습
경제 용어나 ETF의 기본적인 투자개념(배당락, 커버드콜)을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공부를 계속하려고 합니다.
마무리하며
이번 딥시크와 트럼프 때문에 조금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지만, 여전히 AI 산업 전체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의 AI 시장은 마치 1990년대 초반의 인터넷 시장처럼 초기 단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IT버블론도 존재합니다)
주가수익비율(PER)이 높아 보이지만, 향후 성장 가능성을 고려하면 오히려 저평가되어 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이 AI 기술을 주도할 가능성은 여전히 높습니다.
S&P 500의 평균 PER 26배는 10년 후 관점에서 보면 낮은 수준일 수도 있지 않을까요..? (마치 1995년에 아마존 주식이 비싸 보였지만, 지금 관점에서 보면 매우 저렴했던 것처럼)
물론 희망회로일 수도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모든 게 증명되겠죠.
투자란 항상 리스크가 따르지만, 그 안에서 기회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지금의 불확실성은 아주 일시적이며, AI 산업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은 매우 크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잠시 본업에 좀 더 집중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저와 같은 직장인 투자자분들도 저의 이번 경험을 참고하셔서 더 나은 투자 결정을 내리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럼 이상 포스팅을 마칩니다 :)